•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9.20. 0시 기준)
  • 신규 확진자 국내 1,577명, 해외유입 28명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9월 20일 0시 기준으로 1차 접종은 20,384명으로 총 36,505,121명이 1차 접종을 받았고, 이 중 24,827명이 접종을 완료하여 총 22,169,798명이 접종을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9.20. 0시 기준, 단위: 명, %)】 

    구분

    전일 누계(A)

    신규 접종(B)1)

    누적 접종(A+B)1)

    인구2)대비 접종률

     

    18세 이상

    1차 접종

    36,484,737

    20,384  

    36,505,121  

    71.1

    82.7

    접종 완료

    22,144,971  

    24,827

    22,169,798  

    43.2

    50.2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접종이 완료되므로 접종 시 ‘1차 접종’과 ‘접종 완료’ 통계에 모두 추가 
    다만 접종건수에는 1건으로 추가
    2)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주민등록말소자, 재외국민 제외)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백신별 접종 현황(9.20. 0시 기준, 단위: 명, %)】

    백신

    구분

    신규 접종

    누적 접종

    아스트라제네카1)

    1차 접종

    1

    11,086,402

    접종 완료

    193

    10,319,533

     

    교차접종

     

    185

     

    1,585,790

    화이자

    1차 접종

    10,473

    19,740,716

    접종 완료

    22,948

    9,426,012

    모더나

    1차 접종

    9,710

    4,262,619

    접종 완료

    1,486

    1,008,869

    얀센2)

    1차 접종

    (접종 완료)

    200

    1,415,384


    1)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완료에 AZ-PF 교차접종자 포함
    2)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만으로 접종이 완료되므로 1차 접종과 접종 완료 모두에 일괄 추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사례 (9.20. 0시 기준)는 총 244,038건(신규 4,114건)으로,

    * 2개 이상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중복 신고 되더라도 1건으로 분류
    * 9.19∼9.20일 0시 기준 신규사례의 합 

    예방접종 후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 사례가 234,079건(95.9%)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 1,119건(신규 15건),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신경계 이상반응 등 8,188건(신규 52건), 사망 사례 625건(신규 5건)이 신고되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현황(‘21.2.26. 이후 누계, 단위: 건,%)】

    구분

    계
    (A=B+C)

    일반 이상반응

    (B)

    중대한 이상반응 (C)

    예방접종 실적(D)

    이상반응
    신고율

    (E=A/D)

    소계
    (C=C1+C2+C3)

    사망

    (C1)

    아나필락시스 의심(C2)

    주요  이상반응
    (C3)

    총계

    19일 0시

    2,732

    2,679

    53

    3

    14

    36

    57,259,535  

    0.43

    20일 0시

    1,382

    1,363

    19

    2

    1

    16

    누계

    244,038  

    234,079

    9,959

    652

    1,119

    8,188

    AZ

    19일 0시

    181

    172

    9

    1

    0

    8

    19,820,145

    0.51

    20일 0시

    49

    47

    2

    0

    0

    2

    누계

    100,673  

    95,908

    4,765

    285

    309

    4,171

    PF

    19일 0시

    1,695

    1,662

    33

    2

    7

    24

    30,752,518

    0.35

    20일 0시

    889

    877

    12

    2

    1

    9

    누계

    107,917  

    103,543

    4,374

    341

    666

    3,367

    M

    19일 0시

    833

    822

    11

    0

    7

    4

    5,271,488

    0.52

    20일 0시

    433

    428

    5

    0

    0

    5

    누계

    27,268

    26,797

    471

    15

    97

    359

    J

    19일 0시

    23

    23

    0

    0

    0

    0

    1,415,384

    0.58

    20일 0시

    11

    11

    0

    0

    0

    0

    누계

    8,180

    7,831

    349

    11

    47

    291


    * (AZ) 아스트라제네카, (PF) 화이자, (M) 모더나, (J) 얀센 
    ※ 환자상태가 사망으로 변경된 276건을 포함한 전체 사망 누계는 928건(AZ 402, PF 493, M 20건, J 13건)


    【교차접종 대상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현황 (‘21.7.5. 이후 누계, 단위: 건, %)】

    구분

    계
    (A=B+C)

    일반 이상반응

    (B)

    중대한 이상반응 (C)

    예방접종 실적(D)

    이상반응
    신고율

    (E=A/D)

    소계
    (C=C1+C2+C3)

    사망

    (C1)

    아나필락시스 의심(C2)

    주요  이상반응
    (C3)

    19일 0시

    20

    17

    3

    0

    0

    3

    1,585,790 

    0.38

    20일 0시

    11

    11

    0

    0

    0

    0

    누계

    6,057

    5,889

    168

    8

    20

    140


    * 교차접종 이상반응은 PF(화이자 백신) 이상반응과 중복 산정됨

    A.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으로 의심되어 신고된 건으로 의료기관에서 신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하였으며, 백신과 이상반응 간 인과성을 제시하는 것은 아님. 신고 현황 분류는 새로운 정보 추가시 변경 될 수 있음
    B.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발적, 통증, 부기, 근육통, 발열, 두통, 오한 등 흔하게 발생하는 증상을 포함 
    C. 중대한 이상반응은 다음의 사례를 포함
    C1 사망, C2 아나필락시스 의심(아나필락시스양 반응 포함)
    C3 특별관심 이상반응(Adverse Event Special Interest, AESI), 중환자실 입원, 생명위중, 영구장애/후유증 등
    ※ 주간단위로 신고현황 검증 등을 수정 반영함z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9월 20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1,577명,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287,536명(해외유입 14,190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0,477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5,601건(확진자 357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155건(확진자 40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5,233건, 신규 확진자는 총 1,605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1,562명으로 총 259,011명(90.08%)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26,116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32명, 사망자는  5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409명(치명률 0.84%)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9.20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신규

    1,577

    578

    47

    35

    96

    32

    49

    14

    9

    503

    29

    35

    33

    38

    6

    35

    30

    8

    누계

    273,346

    90,166

    11,920

    14,247

    13,786

    4,405

    6,410

    4,765

    1,093

    79,763

    5,881

    5,607

    8,064

    3,870

    2,729

    7,402

    10,542

    2,696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9.20일 0시 기준, ‘20.1.3일 이후 누계)】

    구분

    합계

    (추정)유입국가*

    확인 단계

    국적

    중국

    아시아(중국 외)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검역단계

    지역사회

    내국인

    외국인

    신규

    28

    0

    17

    1

    6

    3

    1

    7

    21

    13

    15

    누계

    14,190

    130

    7,946

    1,964

    3,129

    989

    32

    6,011

    8,179

    7,265

    6,925

    (0.9%)

    (56.0%)

    (13.8%)

    (22.1%)

    (7.0%)

    (0.2%)

    (42.4%)

    (57.6%)

    (51.2%)

    (48.8%)


    * 아시아(중국 외): 필리핀 2명(2명), 인도네시아 1명(1명), 우즈베키스탄 1명(1명), 카자흐스탄 2명(2명), 러시아 2명    (1명), 몽골 5명(4명), 캄보디아 2명(2명), 싱가포르 1명, 네팔 1명(1명), 유럽: 터키 1명(1명), 아메리카: 미국 5명,   캐나다 1명, 아프리카: 우간다 1명, 세네갈 2명, 오세아니아: 미크로네시아 1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확진자 관리 현황(‘20.1.3일 이후 누계)】

    구분

    격리해제

    격리 중

    위중증 환자**

    사망자

    9.19.(일) 0시 기준

    257,449

    26,078

    333

    2,404

    9.20.(월) 0시 기준

    259,011

    26,116

    332

    2,409

    변동

    (+)1,562

    (+)38

    (-)1

    (+)5


    * 9.19일 0시부터 9.20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글쓴날 : [21-09-21 00:42]
    • 최수현 기자[2we@2wenews.co.kr]
    • 다른기사보기 최수현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