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관광 분야 코로나 피해 극복 위해 ’22년 문체부 1차 추경 1,300억 원 확정
  • 방역 지원, 일자리 창출, 문화예술 창작·유통 활성화 지원 중심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는 문화・관광 분야 2022년도 제1차 추경예산이 1,300억 원으로 최종 확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추경예산은 소상공인 지원과 방역 보강 중심의 정부 추경안에 문화・관광 분야 피해 특수성 등을 고려한 방역 지원, 일자리 창출, 창작 지원 사업 등을 국회 심의를 거쳐 추가 반영한 것이다.

    < 문화예술 창작·유통지원 사업 >

    사   업

    내   용

    예산액

    지원범위

    코로나19 한시

    문화예술인 활동지원금

    저소득·취약계층 문화예술인 지원금(1백만 원, 한시)

    407억 원

    4만 명

    (공연)예술단체 대관료 지원

    공연장 대관료 지원으로 공연작품 창작·발표 활성화

    40억 원

    약 1,300건

    소규모 대중음악공연 활성화

    소규모 공연장 및 인디밴드 등 공연 개최 지원

    100억 원

    333건

    영화관 특별기획전 지원

    영화관 특별기획전 개최 지원

    82억 원

    550개관



    코로나19 방역 지원과 일자리 창출 등에 671억 원 투입

    문체부는 현장 방역 인력 보강이 시급한 관광지와 공연장을 중심으로 방역 인력 채용을 지원한다. 전국 주요 관광지를 중심으로 현장 방역과 관광객 대상 방역 안내를 수행할 인력 채용(3,000명)을 지원하고, 

    500석 미만 소규모 공연장(전국 440개소)을 대상으로 최소한의 방역 안전 인력을 운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제작 여건 악화에 직면한 중소 방송제작사와 영화제작사의 인력 채용(총 2,000명)도 지원한다.

    문화예술 분야 창작·유통 활성화 위해 629억 원 반영

    이와 함께 코로나 장기화로 위축된 예술창작 활동과 공연·영화 유통 활성화를 위한 예산을 확대한다. 

    저소득·취약계층 문화예술인을 대상으로 한시적 활동지원금(1백만 원)을 총 4만 명에게 지급해 코로나 피해를 완화하고 창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공연시장 침체 극복을 위해 예술단체를 대상으로 평균 3백만 원의 공연장 대관료를 지원하고, 소규모 대중음악 공연 활성화에 100억 원을 투입한다. 

    영화상영관 대상의 특별기획전 지원(550개관) 예산도 추가 편성해 한국영화 상영·유통 활성화에 힘을 더한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1차 추경예산은 문화예술·관광업계 대상 문체부 지원 사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벤처부 등 관계부처 소상공인 지원사업도 대규모로 포함하고 있는 만큼, 코로나 피해가 컸던 업계에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라며, 

    “추경으로 편성된 사업뿐만 아니라 이미 편성된 업계 지원 사업들을 조속히 집행해 현장의 위기 극복에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


  • 글쓴날 : [22-02-22 14:26]
    • 신명숙 기자[2we@2we.co.kr]
    • 다른기사보기 신명숙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