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 여름 슈퍼 엘니뇨 온다...냉방기기 화재 주의!
  • 5월부터 에어컨 화재 급증, “냉방기기 점검을 통한 화재예방” 주의 당부


  • 지난 5월 17일 새벽, 경기도 남양주와 오산시의 아파트에 설치된 에어컨 실외기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해 많은 주민이 대피하는 등 소동이 빚어졌다.  

    최근 낮 최고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등 때이른 무더위에 냉방기기 사용 시기가 빨라졌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이달 초 보고서를 통해 올 하반기 전지구적 엘니뇨 현상으로 인한 폭염과 폭우에 대비할 것을 경고했다. 

    *엘니뇨 : 동태평양 적도 부근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도 이상 올라간 상태가 5개월 이상 지속하는 현상으로, 지구의 온도는 0.2도가량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소방청(청장 남화영)은 에어컨 등 냉방기기 사용으로 인한 화재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 전 점검을 통해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등 화재예방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NFDS) 분석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18~`22년)간 에어컨으로 인한 화재는 1,234건으로 86명(사망11, 부상75)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풍기로 인한 화재도 584건,  7명이 숨지고 38명이 다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작년(`22년)에는 더위가 시작되는 5월부터 화재 건수가 증가하기 시작해 7~8월 기간 동안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했다. 

    < 최근 5년간 에어컨 화재 현황 >

     

    구분

    화재건수

    인명피해(계)

    사망

    부상

    재산피해

    2018

    262

    10

    1

    9

    1,538,922

    2019

    223

    12

    1

    11

    798,616

    2020

    221

    5

    0

    5

    814,749

    2021

    255

    1

    0

    1

    867,315

    2022

    273

    58

    9

    49

    2,801,986

    합 계

    1,234

    86

    11

    75

    6,821,588

    (출처 :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최근 5년(2018~2022년) 에어컨 화재의 주요원인으로는 전기적요인이 78%(957건)로 가장 많았고, 선풍기 화재 역시 전기적요인 64%(375건), 기계적요인 30%(175건)순이었다. 

    소방청은 피해 최소화를 위한 확실한 예방법은 사용 전 꼼꼼한 사전점검이라고 강조하며, 에어컨 사용 전 점검사항을 당부했다. 


    < 에어컨 사용 전 점검사항 >

    ① 실외기 전원선은 이음부가 없는 단일 전선 사용
    ② 실외기 연결부 전선의 훼손 여부 등 상태 확인
    ③ 실외기 주위에 발화 위험이 있는 가연물 제거
    ④ 에어컨 내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하며 이상 유무 수시 점검
    ⑤ 실외기에서 과도한 소음 등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전문가에게 점검 의뢰

    최홍영 소방청 화재대응조사과장은“지구온난화와 엘니뇨 영향으로 올해도 폭염이 예상되는 만큼 냉방기기 사용 급증에 따른 화재발생으로 피해가 우려되므로 화재 예방을 위해 냉방기기의 사전점검 및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안전하고 시원한 여름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 글쓴날 : [23-05-24 01:21]
    • 최수현 기자[2we@2wenews.co.kr]
    • 다른기사보기 최수현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