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난해 8월,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을 시작한 이후 6개월간 66만 명(누적)에게 총 150억 원을 지원했다고 밝혔다.
시는 장애인의 이동수단 선택권을 보장하고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는 등 사회활동과 참여를 돕기 위해 장애인 지하철 요금을 지원해 온 데 이어 작년 8월부터는 버스까지 요금 지원을 확대했다.
이로써 서울은 장애인이 ‘지하철’과 ‘버스’를 모두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전국 최초의 지자체가 됐다.
시는 또 장애인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여주기 위해 올 연말까지 지하철 1역사 1동선 100% 확보도 추진한다.
<작년 8월부터 ‘버스요금’ 지원…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 동반 보호자까지 최대 10만원 지급>
시는 서울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6세 이상 장애인을 대상으로 서울버스 또는 이와 연계된 수도권(경기․인천) 버스로 환승할 때 발생한 요금 월 최대 5만 원을 지원, 작년 8월~올해 1월 누적 인원 65만 7,208명에게 약 149억 9,600만 원을 지급했다. 한 달 평균 약 11만 명에게 2만3천 원의 버스비가 환급된 셈이다.
시는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의 경우, 혼자 이동이 어려운 만큼 장애인 본인뿐 아니라 동반 보호자도 5만원까지 버스요금을 지원하여 월 최대 10만원까지 지원하고 있다.
시는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의 경우, 혼자 이동이 어려운 만큼 동반 보호자에게도 월 최대 5만 원을 지원하고 있다. 66만 명 중 장애 정도가 심한 장애인은 약 33%에 해당하는 22만 명으로, 이 중 동반 보호자 9만6천여 명이 함께 버스요금을 지원받았다.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 장애가 43%(누적 28만 명)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청각 18% ▴시각 12% ▴지적 7% ▴신장 6% ▴뇌병변 5% ▴정신 4% ▴자폐 2% 순으로 뒤를 이었다.
금액별로는 ▴3만 원 미만이 44만2천여 명(약 67%)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3~5만 원 29% ▴5~10만 원 4% 순으로 지원받은 것이 확인됐다.
<장애인콜택시 현재 722대→ 내년 870대까지 확충, 지하철 ‘1역사 1동선’ 100% 확보 완료>
한편 서울시는 대중교통 요금 지원뿐 아니라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장애 정도가 심해 대중교통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의 이동을 돕기 위해 택시 등 특별교통수단을 늘릴 방침이다. 722대 운행('24년 3월 현재)되고 있는 장애인콜택시는 올해 말 782대, '25년 870대까지 확충할 계획이다. 또 장애 정도가 심한 시각․신장 장애인을 위해 바우처택시, 장애인복지콜도 확대한다.
바우처택시는 지난해 장애인콜택시․복지콜과 동일하게끔 요금을 인하, 현재 8,600대에서 올 연말 1만 대까지 확대할 방침이며 장애인복지콜도 노후차량 20대를 교체하고 운전원도 증원한다.
지하철의 경우, 휠체어를 이용해 지상에서부터 승강장까지 편리하게 오갈 수 있도록 오는 연말까지 ‘1역사 1동선’을 100% 완료할 계획이다('24년 2월 말 기준 96.1% 완료). 또 내년까지 역사 내 장애인 이동 편의를 위한 자동안전발판을 확보하고, '26년까지 승강장 안내방송장치를 설치하는 등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간다.
아울러 '25년까지 저상버스 운행이 가능한 노선에는 전 차량을 ‘저상버스’를 투입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할 예정이다.
【 택 시 】➀ 장애인콜택시(법인특장택시 포함) : ’24년 782대 → ’25년까지 870대 확충
➁ 바우처택시 : 요금체계 개선 및 8,600대 → 10,000대 목표
➂ 장애인복지콜 : 노후차량 교체 및 운전원 증원 등 확대 운영
【 지하철 】’24년까지 지하철 1역사 1동선 100% 확보, 승강장 안전 조치 등
【 버 스 】’25년까지 시내저상버스 100% 도입 추진
정상훈 복지정책실장은 “장애인 버스요금 지원은 단순히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장애인의 사회활동과 참여, 교류를 돕기 위해 시작된 만큼 폭넓은 활동에 도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장애인의 생활에 꼭 필요하면서도 사회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을 꾸준히 발굴,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