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시민들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남산을 즐길 수 있도록 ‘남산 하늘숲길’을 조성하고, 2025년 10월 개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산림청과의 공동산림사업으로 추진되며, 기존의 가파른 경사와 협소한 보행로를 개선하여 보행약자를 포함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1.43km 길이의 무장애 숲길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기존 숲길에서는 바닥을 보면 나무뿌리가 툭툭 튀어나온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답압’ 현상, 즉 사람들이 많이 다니면서 토양이 침식되고 단단하게 눌려 나무 뿌리가 지표면으로 드러나는 현상 때문이다. 이 답압 현상이 지속되면 나무가 스트레스를 받아 생육이 어려워지고, 결국 자연이 훼손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시는 나무데크를 설치해 숲길을 조성할 예정이다. 데크를 조성함으로써 나무뿌리를 보호하고, 토양 침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탐방객들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남산을 오를 수 있다. 또한, 데크를 들어 올려 설치하는 방식을 적용해 자연 지형을 최대한 보존하면서도, 보행자의 편의를 고려한 친환경 탐방로를 조성할 계획이다.
남산 하늘숲길은 용산구 후암동 체력단련장에서 남산도서관까지 이어지는 구간으로, 기존 등산로보다 더욱 편안하고 매력적인 산책길로 조성된다. 특히, 기존 숲길의 급경사를 완만한 데크길로 정비해 어린이, 노인, 휠체어 이용자 등 보행약자도 부담 없이 남산을 오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남산 하늘숲길은 단순한 보행로가 아닌, 서울 도심의 아름다운 자연과 경관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울창한 숲길을 따라 걸으며 한강과 관악산까지 조망할 수 있는 전망 공간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어, 방문객들에게 도심 속에서 자연을 온전히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남산의 자연환경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조망 공간과 다양한 탐방 포인트를 숲길 곳곳에 배치하여 자연 속에서 걷고, 보고, 쉬고, 체험을 한번에 경험할 수 있는 트레킹 코스를 조성한다.
- 남산선셋전망대는 유리 펜스를 활용해 마치 공중에 떠 있는 듯한 개방감을 선사하는 스카이뷰 포토존으로, 서울 도심과 노을빛이 어우러지는 특별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전망과 감각적인 디자인이 어우러져, 남산을 찾는 누구나 머물고 추억을 남기고 싶은 서울의 대표 랜드마크 포토존이 될 전망이다.
- 계곡전망다리는 메타세쿼이아 숲을 배경으로 도심을 색다른 각도에서 조망할 수 있는 포인트로, 숲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경관을 제공한다.
- 출렁다리는 대상지의 지형적 특성을 살린 모험형 구조물로, 하부 계곡 전망다리와 연계해 다양한 액티비티를 제공하며 짜릿한 스릴까지 선사한다.
- 피톤치드 선베드는 소나무 숲 속에서 삼림욕을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쉼터 공간이다.
- 모험놀이데크는 기존 폐상수시설과 주변 대형목이 지닌 신비스런 분위기를 활용해 자연과 어우러진 탐방형 모험 공간을 조성하여, 남산의 다양한 생태적 요소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남산 남측순환로(팔각안내센터~체력단련장) 구간은 보도 폭이 2m로 협소하여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가 혼재되면서 충돌 위험이 높았던 구간이다. 이에 서울시는 보행 전용 데크(0.5km)를 추가 설치하여 보다 넓고 안전한 보행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연결안전데크가 완성되면 보행자는 차량과 완전히 분리된 공간에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남산 하늘숲길과 연계해 더욱 다양한 경로로 남산을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한 보행 네트워크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남산 정상부의 혼잡을 완화하고 명동에서 정상부까지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남산 북측 숲길(0.5km)’도 함께 조성된다. 이 숲길은 N서울타워에서 북측순환로를 거쳐 예장공원까지 연결되는 총 1.3km의 탐방로로, 기존보다 더욱 효율적인 동선으로 남산을 오를 수 있도록 개선된다.
기존의 한양도성길(1.6km, 3배)이나 남산둘레길(2.7km, 5배)보다 훨씬 짧은 0.5km 구간을 통해 남산 정상까지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시민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다.
북측 숲길에는 보행데크와 정원이 마련되어 있어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남산을 탐방할 수 있으며, 바람전망대에서는 서울 도심과 북한산의 웅장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번 숲길 조성 과정에서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고 친환경 공법을 적극 적용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숲길을 만드는 데 집중하고 있다.
- 수목 보호를 위해 데크 설치 시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기존 수목을 최대한 보존하며, 수목 보호홀이 적용된 구조물을 설치할 예정이다.
- 지형 보존을 위한 공법으로 PC 콘크리트 기초를 적용해 콘크리트 타설을 최소화하고, 자연 지형을 최대한 유지하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 산림 보호를 위해 무분별하게 발생된 샛길을 폐쇄하여, 시민들이 정비된 공식 등산로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며, 생태 복원을 위한 식생 조성도 병행한다.
- 데크 하부에는 야생동물 이동통로를 확보해 기존의 생태 환경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울시는 목재데크를 활용한 남산 하늘숲길 등 조성을 통해 탄소저장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 사용되는 약 181,488㎥의 목재는 63,520톤의 탄소를 저장하며, 이는 자동차 50,679대의 연간 CO₂배출량에 해당한다. 또한, 목재의 자연스러운 온도 조절 기능을 활용해 환경 부담을 최소화한다. 서울시는 탄소중립과 산림 생태계 보호를 실현하는 지속가능한 숲길 조성으로 기후변화 완화에 기여하는 대표적인 친환경 힐링 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 ※ 하드우드(경질목) : 181,488×700kg×0.5÷1000=63,528(C) )
이번 사업은 산림청과의 공동산림사업 협약을 통해 추진된다. 국유림의 공익적 기능을 극대화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산림청이 국유림을 무상 제공하고, 서울시가 사업비를 부담하는 방식으로 협력한다.
이를 통해 도심 속에서도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 숲길을 조성하고, 산림 보전과 지속가능한 개발의 조화를 이루는 데 중점을 둔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이번 남산 하늘숲길 조성 사업을 통해 도시와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보행 환경을 조성하고, 남산을 더욱 걷기 좋은 공간으로 변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남산을 오르는 경로가 다양해지고, 기존보다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새로운 보행 네트워크가 구축될 예정이다. 2025년 10월, 남산 하늘숲길에서 자연과 함께하는 특별한 순간을 경험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