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간개방으로 국민과 더 가까워진 모바일 신분증, 민간의 혁신 서비스 창출 기대
  • 다양한 민간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쓸 수 있게 되어 국민이 체감하는 창의적 서비스 창출 전망


  • 행정안전부는 7월 13일(일), 2025년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으로 신한은행, 우리은행, 중소기업은행, 하나은행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4개 기업이 선정되어 앞으로 모바일 신분증 정부 앱과 총 10개 민간 앱에서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사용할 수 있게 된다.

    (1차 참여기업)삼성전자(’24.3월부터 서비스 중), (2차 참여기업)국민은행, 네이버, 농협은행,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카카오뱅크(’25.7월 말부터 서비스 예정)

    2025년 민간개방 참여기업 선정을 위한 모집 공모는 지난 6월 9일(월)부터 7월 4일(금)까지 진행됐으며, 모바일 신분증에 관심을 가진 많은 기업이 해당 공모에 참여했다.

    보안 및 인증 분야 전문가 7인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에서 ▲보안 수준, ▲개인정보 보호 방안, ▲신뢰성, ▲장애 대응체계, ▲활성화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상위 4개 기업을 최종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참여기업은 올해 7월부터 시스템 개발에 착수하여 내년 1분기까지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2분기까지 평가기관의 적합성 평가를 통과하면 7월부터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적합성 평가에서는 ▲모바일 신분증 필수 기능 구현 여부, ▲앱 위·변조 및 탈취에 대한 보안성 확보 여부, ▲신분증 발급·이용 시 수행하는 안면인식 기능의 정합성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 참여기업이 모바일 신분증을 제공하기 위한 충분한 보안성과 안정성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한다.

    《2025~2026년 모바일 신분증 추가 민간개방 추진일정(안)》

    2025년

    2026년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구축

    적합성 평가

    개통

     


    4개 참여기업은 신분증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어떤 서비스보다도 높은 보안 수준을 제공하겠다는 각오로 전사적 차원의 지원을 투입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정부가 구축한 모바일 신분증 플랫폼 위에 민간의 창의적인 혁신 서비스가 더해지면서, 모바일 신분증이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 민관협업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신분증은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는 국가가 공인하는 수단인 만큼, 모바일 신분증 역시 최고 수준의 보안을 갖춰 국민이 믿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글쓴날 : [25-07-14 14:32]
    • 최수현 기자[2we@2wenews.co.kr]
    • 다른기사보기 최수현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