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으로 주민등록표 등본에 재혼가정의 자녀도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표기 됩니다
  • 주민등록표 등·초본상 세대주와의 관계 및 외국인 성명 표기 방식 개선


  • ㄱ씨는 이혼 후 자녀를 데리고 재혼한 재혼 가정의 엄마다. 최근 ㄱ씨 가족이 ㄴ시로 이사를 하면서 학교에 등본을 제출해야 했는데, 등본에는 아이가 “배우자의 자녀”로 기재되어 있었다. ㄱ씨는 재혼 사실이 드러날 수 있는 등본을 학교에 제출하면 아이가 위축되거나 편견 어린 시선을 받게 될까, 우려됐다.

    외국인 톰 소여(Tom Sawyer) 씨는 최근 외국인 지원 서비스 신청을 위해 주민등록표 등본과 가족관계증명서를 발급받았다. 그런데 등본에는 “Tom Sawyer”라고 표기되고, 가족관계증명서에는 한글 이름(소여 톰)만 표기되어, 모두 본인의 서류라는 것을 입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앞으로는 등·초본 상 가족 관계 표기로 인한 재혼 가정의 사생활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세대주와의 관계 표기 방식이 개선된다.

    행정안전부는 11월 13일(목),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주민등록법 시행령」과 「주민등록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각각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이번 개정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재혼가정 등에서의 필요 이상의 개인정보 표기로 인한 사생활 침해를 방지하고자, 필요 최소한의 개인정보만을 나타내도록 주민등록표 등․초본 표기 양식을 개선했다.

    앞으로 등·초본에는 세대주의 배우자 외 가족(부모, 조부모, 형제자매 등)은 ‘세대원’, 그 외에는 ‘동거인’으로 표기된다. 다만, 민원인이 희망하는 경우 기존 표기법대로 등·초본에 상세한 가족 관계를 표기할 수 있다.

    <기존 표기법>

     

     

    <개선 표기법>

     

    번호 세대주와의 성 명(한자)

    관 계 주민등록번호

    …

     

    번호 세대주와의 성 명(한자)

    관 계 주민등록번호

    …

    1

    본 인 김훈민

     

     

    1

    본 인 김훈민

     

    2

    배우자 최정음

     

     

    2

    배우자 최정음

     

    3

    자 녀 김세종

     

     

    3

    세대원 김세종

     

    4

    배우자의 자녀 이대왕

     

     

    4

    세대원 이대왕

     

    5

    삼 촌 김한글

     

     

    5

    동거인 김한글

     


    또한, 행정안전부는 시행령 개정과 더불어 신청인이 신청 목적에 부합하는 정보만을 선택해 발급받을 수 있도록 지침(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민간·공공부문을 대상으로 불필요한 개인정보 요구를 지양하도록 홍보할 계획이다.

    둘째, 주민등록표 등본에 외국인의 한글 성명과 로마자 성명을 모두 표기할 수 있게 된다.

    그동안 외국인의 경우 가족관계등록 서류에는 이름이 한글로 표기되고 주민등록표 등본에는 로마자로만 표기되어 두 증명서에 표기된 사람이 동일인임을 입증하기 어려웠으나, 앞으로는 등본에 한글 성명과 로마자 성명이 모두 표기되어, 신원 증명이 편리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전입신고 사실 통보서비스’ 신청 및 전입신고 시 민원인이 지참해야 하는 구비서류가 간소화된다.

    - 전입신고 사실 통보서비스 : 누군가가 내가 사는 주소, 또는 내가 소유(임대)한 건물에 전입신고한 사실을 문자로 통보해 주는 서비스

    앞으로는 신청인이 ‘행정정보 공동이용’을 통한 개인정보 조회에 동의할 경우, 건물 등기부 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 별도 서류를 준비할 필요 없이 한 장의 신청서 작성만으로 편리하게 해당 민원 신청 및 신고가 가능하다.
     
    행정안전부는 11월 13일(목)부터 12월 23일(화)까지 입법예고 기간 동안 국민, 관계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개정안에 반영할 계획이다.

    개정안은 관보와 국민참여입법센터(https://opinion.lawmaking.go.kr)에서 볼 수 있고, 개정안에 대한 의견은 우편, 팩스, 국민참여입법센터를 통해 제출할 수 있다.

    윤호중 장관은 “이번 주민등록법 시행령 개정으로 오랜 기간 불편을 겪어 온 재혼가정의 불필요한 사생활 침해 문제와 외국인의 신원 증명 불편 문제를 해소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주민등록제도는 전 국민의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된 만큼, 주민의 불편이 없도록 지속 개선하겠다”라고 말했다.






  • 글쓴날 : [25-11-13 16:11]
    • 신명숙 기자[2we@2we.co.kr]
    • 다른기사보기 신명숙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