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증시각장애인 K씨(38세)는 장애인에게 제한된 취업시장으로 인하여 취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나, 2019년 서울시 중증장애인 인턴제에 참여하여 OO자립생활센터에서 인턴활동을 하였고 인턴근무 기간 동안 긍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모습을 인정받아 올해 해당 자립생활센터에 정규직으로 채용되었다. K씨는 정규직으로 전환되어 경제적 능력이 생긴 만큼 그동안 가고 싶었던 여행도 다니고 함께 살던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하여 자립생활에도 도전할 예정이다.
# 중증지체장애인 J씨(32세)는 대학을 졸업한 후 취업이전에 실무업무를 배우고자 2018년 중증장애인 인턴제에 신청하여 △△자립생활센터에서 근무하였으며 인턴경험을 바탕으로 작년 코레일유통 정규직 입사에 성공하였다. J씨는 “인턴 근무하면서 배웠던 보고서작성법, 회계처리법이 현재 근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라며 “앞으로 관련 공부도 계속하고 자격증도 따서 사무직 업무도 수행해보고 싶다”고 하였다.
서울시는 市 내 중증장애인 자립생활(IL: Independent Living)센터 및 장애인단체, 장애인복지관에서 업무 경험을 쌓을 중증장애인 인턴을 모집한다.
중증장애인의 경우 일반 장애인보다 취업이 어려워 사회참여 기회 또한 상대적으로 적다. 서울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15년부터 인턴제를 시행, 중증장애인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간 중증장애인 인턴제를 운영한 결과 117명의 인턴 가운데 45명이 장애인 자립생활(IL)센터 및 사회복지시설 등에 취업했다.
서울시는 올해 중증장애인 인턴을 오는 14일까지 모집하여, 총 30명을 선발할 계획이다. 선발된 인원은 중증장애인 자립생활(IL: Independent Living)센터·장애인단체·장애인복지관 등 30개 기관에서 일할 예정이다.
기관 당 1명씩 채용하며, 서류심사와 면접을 거쳐 최종 선발된 인턴은 3월 2일부터 12월까지 10개월 간 근무하게 된다.
서울 거주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복지관 또는 IL 센터에서 상근직으로 근무한 경험이 없어야 지원이 가능하다.
단, 지난해 서울시 중증장애인 인턴으로 근무했으나 정규직으로 임용되지 않은 경우는 1회에 한하여 지원할 수 있다.
이번 중증장애인 인턴 선발은 서류와 면접심사를 거쳐 2월 26일(수)에 최종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며, 3월 2일(월)부터 희망기관에서 근무하게 된다.
인턴으로 선발될 경우, 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를 통해 해당 기관의 사업기획과 회계, 프로그램 운영 등 업무 전반을 지원하게 되며, 서울시는 인턴의 인건비와 4대 보험을 보장한다.
인턴에 지원하고 하는 중증장애인은 서울시 홈페이지 (https://news.seoul.go.kr/welfare/)의 모집요강을 참고하여 자신이 지원하고자 하는 인턴제 운영기관에 직접 방문접수하거나 이메일로 14일(금)까지 접수하면 된다.
이병욱 장애인자립지원과장은 “중증장애인은 개인역량이 뛰어나더라도 업무경험이 없어 취업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다”라며 “인턴경험은 중증장애인들의 경제적 자립을 도와주어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향상시켜 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