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상어(원어) | 다듬은 말 | 의미 |
머그샷 제도 (mugshot 制度) | 피의자 사진 공개 제도 | 범죄 혐의가 있거나 구치소에 수감 중인 사람의 얼굴을 식별하려고 찍은 사진을 공개하는 제도. |
스피드 팩토어 (speed factore) | 잰맞춤 생산 (체계) | 소비자의 주문을 신속하게 공장으로 전송하고, 자동화된 생산 공정을 활용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맞춤형 제품을 빠르게 생산해 내는 시스템. |
플로깅 (plogging) | 쓰담 달리기 | 달리기를 하면서 쓰레기를 줍는 운동. ※ ‘플로깅(plogging)’은 이삭 등을 줍는다는 뜻의 스웨덴어 ‘Plocka upp’과 달리기를 뜻하는 영어 ‘Jogging’의 합성어. |
치팅 데이 (cheating day) | 먹요일 | 식단 조절을 하는 동안 정해진 식단을 따르지 않고 자신이 먹고 싶은 음식을 먹는 날. |
베그패커 (beg packer) | 구걸배낭족 | 사람들이 많은 장소에서 구걸해서 여행 경비를 마련하는 배낭여행객. |
소셜 디자이너 (social designer) | 공동체 (혁신) 활동가 | 인권 보호와 사회 개혁에 앞장서서 사회를 바꾸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 |
딥페이크 (deepfake) | (인공지능 기반) 첨단 조작 기술 | 인공 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사진이나 영상에 다른 이미지를 중첩·결합해 가공의 새 이미지나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술. ※ ‘딥페이크(deepfake)’는 인공 지능 심층 학습을 뜻하는 ‘디프 러닝(deep learning)’과 ‘가짜’를 뜻하는 ‘페이크(fake)’의 합성어. |
*자살예방 관련 | 생명 지킴이 | 자살 위험성이 높은 고위험군 대상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전문기관의 상담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연결해 주거나, 자살 위기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대응으로 자살 시도를 방지하는 등,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리ㆍ지원을 담당하는 사람. |
게이트키퍼 (gate keeper) | ||
쇼트리스트 (short list) | 최종 후보 명단 | 최종 선발이나 채용, 입찰, 수상, 인수 등을 앞두고 발표하는 최종 후보자 명단을 이르는 말. 또는 1차 후보자 명단(롱 리스트, long list)에서 더 압축된 명단을 가리키기도 한다. |
앰비슈머 (ambisumer) | 가치 소비자 | 가치관의 우선순위에 있는 것에는 소비를 아끼지 않는 대신 우선순위에 없는 것에는 소비를 아끼는 사람들 혹은 그러한 소비 형태. |
필리버스터 (filibuster) | 합법적 의사진행 저지, 무제한 토론 | 의회 안에서 합법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의사 진행을 고의로 저지하는 행위. 장시간에 걸친 연설이나 출석 거부, 동의안이나 수정안의 연속 제의, 형식적인 절차의 철저한 이행 따위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
제로웨이스트 (zero waste) | 쓰레기 없애기 | 일상생활에서 책임 있는 생산, 소비, 재사용 및 회수를 통해 모든 자원을 보존하고 어떤 쓰레기도 소각‧매립되거나 바다에 버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 불필요한 자원을 소비하지 않고 쓰레기를 최소화하여 폐기물 자체를 생산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환경 운동이다. |
원포인트 회의 (one-point 會議) | 단건 (집중) 회의 | 특정한 안건만 상정하거나 통과시키기 위하여 짧게 개최하는 회의. |
콤팩트 시티 (compact city) | 기능 집약 도시 | 지속 가능한 도시 공간 조성을 추구하는 도시 고밀도 개발 정책. 도심 공동화 현상이나 베드타운 현상을 지양하고, 도시 내부에서 주거‧상업‧사무‧쇼핑‧문화생활 등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도심의 본래 기능을 살리는 데 중점을 둔다. |
1코노미 (1conomy) | 1인 경제 | 혼자만의 생활을 즐기며 소비 활동을 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 ‘1코노미’는 일인(1人)과 경제를 뜻하는 영어 이코노미(economy)를 합친 말이다. |
다크패턴 (dark pattern) | 눈속임 설계 | 사용자를 속이기 위해 설계된 접속 환경(인터페이스)을 뜻하는 말. 인터넷 사이트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등에서 사용자들이 원치 않는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입하도록 은밀히 유도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
애니멀 호더 (animal hoarder) | 동물 수집꾼 | 동물을 모으는 것에 지나치게 집착하나 기르는 일에는 무관심하여 방치하는 사람. |
하프 오픈 톱 (half open top) | 부분 개방형 | 버스나 트레일러 등의 좌석 일부분을 지붕 없이 개방하는 형태. 주로 관광용 2층 버스에 사용된다. |
리커버 (recover) | 새표지 | 이미 출간된 책의 표지를 새로운 디자인으로 바꾸어 다시 출간하는 일. |
신파일러 (thin filer) | 금융 이력 부족자 | 서류가 얇은 사람이란 뜻으로 신용을 평가할 수 없을 만큼 금융 거래 정보가 거의 없는 사람. |
슬로푸드 (slow food) | 정성 음식 | 천천히 시간을 들여서 만들고 먹는 음식을 ‘패스트푸드’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스피어 피싱 (spear phishing) | 표적 온라인 사기 | 불특정 다수의 개인정보를 빼내는 전자금융사기(피싱)와 달리 특정 기업 혹은 중요 시스템 관리자나 정보 책임자 등의 특정인의 정보를 캐내기 위한 사이버 공격. |
리브랜딩 (rebranding) | 상표 새 단장 | 소비자의 기호, 취향, 환경 변화 등을 고려해 기존 제품이나 상표의 이미지를 새롭게 창출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인식시키는 활동. |
체크슈머 (checksumer) | 꼼꼼 소비자 | 상품의 성분, 원재료, 제조 과정, 사용 후기 등을 꼼꼼히 확인하고 구매를 결정하는 소비자. |
유니콘 기업 (unicorn 企業) | 거대 신생 기업 |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 이상인 신생 기업. 상장하기 전에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에 달하는 것은 유니콘처럼 상상 속에서나 있을 수 있는 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