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정폭력 피해자 자립 지원 강화한다
  • 가정폭력상담소에 총 43명 상담원 배치 및 자립지원 시범사업(2개소) 실시


  • 여성가족부(장관 이정옥)는 폭력피해를 당한 이주여성에게 전문적인 상담 등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폭력피해이주여성상담소 운영기관 심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충남과 전북에 폭력피해이주여성상담소 2곳을 추가 선정하였다.

    * 2개 기관 : 충남(사회복지법인 세종충남가톨릭사회복지회), 전북((사)아시아이주여성센터)

    폭력피해 이주여성 상담소(이하 ‘이주여성 상담소’)는 이주여성이 가정폭력, 성폭력, 부부갈등 등에 처했을 때 한국어 및 출신국가 언어로 전문적인 상담, 통·번역과 의료·법률·체류지원, 보호시설 연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으로 5곳을 설치하였다.

    ※ (지원 예산) 개소 당 인건비, 사업비, 운영비 등 총 281백만 원(국비 50%, 지방비 50%)

    ※ (’19년 신설) 5개소 / 대구(6.19.), 충북(7.16.), 인천(7.18.), 전남(10.12.), 제주(12.23.) 

    * ’19년 운영실적(5개소) : 상담 지원 5,332건 / 피해자 지원 5,348건

    여성가족부는 올해 총 4개소를 여는 것을 목표로 4월 중에 2개소를 추가 선정하여 폭력피해 이주여성이 보다 편리하게 상담과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이주여성상담소는 소장과 이주여성 상담원을 포함해 6명 내외가 근무하며, 2020년 5월경에 문을 열 예정이다. 

    또한, 2020년까지 가정폭력 피해자의 치유와 회복을 위해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를 강화하는 한편, 피해자에게 다양한 자립지원교육을 제공하여 자립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43개 가정폭력상담소에 상담원을 각 1명씩 배치하여 상담 전문성을 높이고, 취업하고 싶은 피해자를 위해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직업교육, 직업훈련 등 자립지원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연도별 상담원 확충 목표(128명) : (’20)43명 → (’21)43명 → (’22)42명 

    폭력피해 여성과 가족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임대주택 10호를 확대* 지원하고,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66개) 및 폭력피해 이주여성 보호시설(32개)에서 4개월** 이상 지내고 퇴소한 피해여성에게 자격 취득 등 생활 안정을 돕기 위해 자립지원금 5백만 원을 지원한다.  

    * 임대주택 지원 : (’18)314호 → (’19)334호 → (’20)344호(10호↑)
    * 자립의사가 있을 경우 2개월 이상 입소자도 심사를 거쳐 지원

    또한, 가정폭력상담소,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여성긴급전화 1366 등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시설과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등 취업지원기관이 협업해 피해자가 자립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가정폭력피해자 전문자립지원 시범사업(2개소)을 실시한다. 

    * 지자체 대상 공모(3월 예정) 

    황윤정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장은 “이주여성은 외국인이 아니라 내 가족과 결혼한 식구이자 어엿한 우리 이웃이라는 점을 기억하고,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자립역량을 높일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하며,

    ”이주여성이 존중받고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회를 위해 이주여성 상담소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가정폭력 상담소, 보호시설, 여성긴급전화 1366 등의 전문상담, 보호 및 자립 등 맞춤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여성폭력 상담.’ 이용방법
     - 채팅상담/게시판 상담: 인터넷(모바일) www.women1366.kr
     - 카카오톡 상담: 카카오톡에서 ‘1366’ 검색 후 ‘여성폭력 사이버 상담(women1366)’과 친구 맺기 후 1:1 

    ※ 채팅 진행
     - 여성긴급전화: 국번 없이 1366 (결혼이주여성 : 1577-1366) 
     - 폭력피해 이주여성상담소 전화번호
     · 대구 053)476-7600 / 청주 043)223-5253∼4 / 인천 032)446-0091 /
       전남 061)282-1562 / 제주 064)064-722-6242





  • 글쓴날 : [20-02-25 14:22]
    • 최수현 기자[2we@2wenews.co.kr]
    • 다른기사보기 최수현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