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부-경찰청 맞손, 추석·가을에도 이륜차 안전 강화
  • 7∼8월 이륜차 집중단속 등으로 전년 대비 14.5% 사망자 감소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 경찰청(청장 김창룡)은 상반기 증가세를 보이던 이륜차 사망자가 7~8월 기간 동안 전년 대비 14.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19년 7∼8월 83명 → ’20년 7∼8월 71명(△12명, △14.5%)

    이륜차 교통사고 발생건수와 부상자도 각각 3.2%와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계(1∼8월)

    1∼6월

    7∼8월

    발생

    사망

    부상

    발생

    사망

    부상

    발생

    사망

    부상

    ’20년

    13,664

    336

    17,525

    9,880

    265

    12,685

    3,784

    71

    4,840

    ’19년

    13,524

    316

    17,204

    9,614

    233

    12,212

    3,910

    83

    4,992

    증감

    +140

    (1.0%)

    +20

    (6.3%)

    +321

    (1.9%)

    +266

    (2.8%)

    +32

    (13.7%)

    +473

    (3.9%)

    -126

    (△3.2%)

    -12

    (△14.5%)

    -152

    (△3.0%)

    정확한 사고원인 등 분석 후 ’21년 초 확정

    올해 상반기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이륜차 사망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경찰청에서는 7∼8월에 이륜차 교통법규 위반에 대한 집중단속을 시행하였다.

    전년동기 대비 단속 건수가 42.2% 증가하였으며, 특히,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비접촉식 캠코더 단속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캠코더 단속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났다.

    집중단속 기간 중 이륜차 단속 현황

    구분

    계

    현장단속

    캠코더

    ’20. 7∼8월

    87,381

    59,500

    27,881

    ’19. 7∼8월

    61,470

    57,331

    4,139

    증감

    +25,911 (42.2%↑)

    +2,169 (3.8%↑)

    +23,742 (537.6%↑)



    국토부와 교통안전공단에서는 이륜차 공익제보단을 구성·운영하고, 국민 제보에 대한 홍보를 확대한 결과, 같은 기간 동안 이륜차 교통법규 위반에 대한 공익신고도 5.9배 증가하였다.

    * ’19년 7∼8월 4,275건 → ’20년 7∼8월 29,517건, 590.5%↑

    아울러, 전국 주요 교차로 등 이륜차 사고다발지역(5,000여 곳)에 이륜차 교통안전 현수막을 설치하고 안전 영상을 제작·송출하여 이륜차 안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높이는 한편, 신규 배달운전자 안전교육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7∼8월 중 이륜차 교통사고 사망자가 감소하는 성과가 있었으나, 아직 올해 누적 사망자 수는 전년 보다 6.3% 증가한 만큼, 국토부와 경찰청은 추석기간을 포함하여 향후에도 이륜차 운전자에 대한 단속·공익제보 및 홍보와 캠페인 활동을 지속 실시하고, 이륜차 배달앱의 안전기능 개선·확대 및 안전장구 지원 등 이륜차 안전 인프라를 보다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이륜차 안전사고의 근원적인 감소대책 마련을 위해 이륜차 배달업계 실태조사도 시행해 나갈 계획이다.

    국토부와 경찰청은 “이번 추석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배달 서비스가 예년보다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륜차 교통사고 없는 추석연휴가 될 수 있도록 배달운전자와 배달업계, 소비자의 각별한 관심이 중요하다”고 하면서, 이륜차 배달 종사자에게는 “생명과 안전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교통법규를 지켜 안전하게 운행할 것”을 당부하였으며, 배달업계에 대해서는 “배달 운전자들이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안전조치 및 휴식시간 보장 등 각별한 관심과 주의”를 요청하였다.

    아울러, 일반 소비자에 대해서는 “이륜차 배달 운전자들이 시간에 쫓겨 무리하게 운행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좀 더 여유를 갖고 기다리는 성숙한 문화”를 강조하였다.




  • 글쓴날 : [20-09-14 00:29]
    • 신명숙 기자[2we@2we.co.kr]
    • 다른기사보기 신명숙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