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가슴쓰리고 신물 올라오는「위-식도역류병」5년새 39만 명 증가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용익)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위-식도역류병’질환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다. 

전체 진료인원은 2016년 420만 3천 명에서 2020년 458만 9천 명으로 9.2%(38만 6천 명)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2.2%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177만 6천 명에서 2020년 193만 3천 명으로 8.9%(15만 7천 명)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6년 242만 7천 명에서 2020년 265만 6천 명으로 9.4%(22만 8천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020년 ‘위-식도역류병‘ 60대가 21.2%(97만 3천 명) 가장 많아

2020년 기준 ‘위-식도역류병’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458만 9천 명) 중 60대가 21.2%(97만 3천 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0.7%(94만 9천 명), 40대가 17.0%(77만 9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 21.1%, 50대 20.3%, 40대 18.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1.3%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40대가 각각 21.0%, 16.1%를 차지하였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전한호 교수는 60대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위-식도역류병은 서구화된 식습관, 운동 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이 주된 원인이다. 

또한 진단검사 중 하나인 상부위장관 내시경이 건강검진 및 국가검진에서 기본검사로 시행되는 횟수가 증가하면서, 환자 발견이 많아진 것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하였다 


2. 2020년 ‘위-식도역류병‘ 인구 1천 명당 진료인원 89.4명, 8.0% 증가

인구 1천 명 당 ‘위-식도역류병’ 질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0년 89.4명으로 2016년 82.8명 대비 8.0% 증가하였으며 남성은 2016년 69.7명에서 2020년 75.1명으로 7.7%의 증가율을 보였고,여성은 2016년 96.1명에서 2020년 103.7명으로 7.9% 증가한 것으로나타났다.

인구 1천 명당 ‘위-식도역류병’ 질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170.4명으로 가장 많았다.

남성은 70대가 158.8명으로 가장 많고, 80대 이상 129.1명, 60대 127.6명순이며, 여성은 70대가 180.0명으로 가장 많고, 60대 168.2명, 50대 130.5명 순으로 나타났다.


3. 2020년 ‘위-식도역류병‘ 6,719억 원, 2016년 대비 33.2% 증가

 ‘위-식도역류병’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6년 5,044억 원 에서 2020년 6,719억 원으로 5년 간 33.2%(1,676억 원) 증가하였고,연평균 증가율은 7.4%로 나타났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