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자가검사키트 허가기준은 해외보다 높은 수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강립)는 국내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가 해외 규제기관보다 높은 수준의 성능을 입증하도록 임상시험 기준을 제시하여 허가하고 있습니다.

(허가기준) 식약처는 해외에서도 가장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고 있는 미국과 같은 기준입니다.

* 민감도(질병이 있는 환자 중 검사결과가 양성으로 나타날 확률) 90% 이상
* 특이도(질병이 없는 환자 중 검사결과가 음성으로 나타날 확률) 99% 이상

< 국가별 민감도/특이도 기준 >

국가

민감도

특이도

대한민국

90% 이상

99% 이상

미국

90% 이상

99% 이상

독일

80% 이상

97% 이상

체코

90% 이상

98% 이상

스위스

80% 이상

97% 이상

덴마크

80% 이상

97% 이상

ECDC

80% 이상

97% 이상


(임상시험 설계)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허가기준의 임상시험 규모는 해외 규제기관과 비교해 동등하거나 더 많은 임상시험 대상자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임상시험 대상자중 확진자, 비확진자 비율은 대략 1:2로 설계되었고, 확진자 중 무증상자·초기 감염자를 30% 포함해 성능을 평가합니다.

참고로 실제 검사 현장에서는 감염 여부를 모르는 사람을 대상으로 검사가 진행되고, 감염 상황에 따라 양성예측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임상시험과 다른 점입니다.

- 양성예측도 : 자가검사키트 양성자 중 PCR로 진짜 감염이 확진된 비율

(국외 사용 현황) 국내에서 허가된 자가검사키트 중 일부 제품은 미국, 캐나다 등 해외 규제기관에서 긴급사용 승인되는 등 국제 사회에서도 성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자가검사키트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품에 첨부된 사용설명서를 꼼꼼히 읽고 키트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검사시간(15~30분)을 반드시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키트에 표시된 대조선(C)이 먼저 진하게 나타나고 검사선(T)에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나중에 검사선(T)이 나올 수 있으므로 검사시간이 모두 지난 후에 최종 결과를 확인해야 합니다.

검사의 정확도(민감도·특이도, 양성예측도 등)와 사용법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식약처 블로그(blog.naver.com/kfdazzang/222640236513)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