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월말 기준 전국의 미분양 주택이 총 21,727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17,710호) 대비 22.7%(4,017호) 증가하였다.
수도권은 1,325호로 전월(1,509호) 대비 12.2%(184호) 감소하였으며, 지방은 20,402호로 전월(16,201호) 대비 25.9%(4,201호) 증가하였다.
* (수도권) ‘21.1월 1,861호 → ‘21.5월 1,303호 → ‘21.9월 1,413호 → ‘22.1월 1,325호
* (지 방) ‘21.1월 15,269호 → ‘21.5월 14,357호 → ‘21.9월 12,429호 → ‘22.1월 20,402호
준공 후 미분양은 7,165호로 전월(7,449호) 대비 3.8%(284호) 감소하였다.
* ‘21.1월 10,988호 → ‘21.5월 9,235호 → ‘21.9월 7,963호 → ‘22.1월 7,165호
규모별로 전체 미분양 물량을 보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1,424호로 전월(1,019호) 대비 39.7%(405호) 증가하였고, 85㎡ 이하는 20,303호로 전월(16,691호) 대비 21.6%(3,612호) 증가하였다.
’22.1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41,709건으로 집계되었다.
전월(‘21.12월, 53,774건) 대비 22.4% 감소, 전년 동월(’21.1월, 90,679건) 대비 54.0% 감소하였다.
(지역별) 수도권(16,209건)은 전월 대비 24.9% 감소, 전년 동월 대비 65.6% 감소, 지방(25,500건)은 전월 대비 20.8% 감소, 전년 동월 대비 41.4% 감소
5년 평균 1월 거래량 대비로는 수도권은 57.0% 감소, 지방은 3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아파트(24,465건)는 전월 대비 19.7% 감소, 전년 동월 대비 62.0% 감소, 아파트 외(17,244건)는 전월 대비 26.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34.5% 감소
5년 평균 1월 거래량 대비로는 아파트는 52.5%, 아파트 외는 24.3%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② 전월세 거래량】
※ (유의사항) 6월 1일부터 「주택 임대차 신고제」가 시행되어 집계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시계열 데이터(전월比, 전년동월比, 5년평균比) 사용에 유의할 필요
또한, 상대적으로 확정일자 신고율이 낮은 갱신 계약 거래 건수가 과소 반영될 가능성이 높음(동 사유로 전월세 거래량은 국가승인통계가 아님)
임대차 신고제 자료와 확정일자 신고 자료를 합산한 ’22.1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총 204,497건으로 집계되었다.
전월(215,392건) 대비 5.1% 감소, 전년 동월(179,537건) 대비 13.9% 증가, 5년 평균(159,044건) 대비 28.6% 증가하였다.
(지역별) 수도권(132,788건)은 전월 대비 5.6%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3.8% 증가, 지방(71,709건)은 전월 대비 4.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4.1% 증가
(유형별) 아파트(98,742건)는 전월 대비 7.1%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6.3% 증가, 5년 평균 대비 30.4% 증가하였으며, 아파트 외(105,755건)는 전월 대비 3.1% 감소, 전년 동월 대비 11.8% 증가, 5년 평균대비 26.9% 증가하였다.
(임차유형별) 전세 거래량(111,319건)은 전월 대비 4.0% 감소, 전년 동월 대비 5.1% 증가, 5년 평균대비 18.3% 증가하였다.
‘22.1월 월세 거래량 비중은 45.6%로 전년 동월(41.0%) 대비 4.6%p 증가, 5년 평균(41.1%) 대비 4.5%p 증가하였다.
주택 매매거래량 및 전월세 거래량 등에 대한 세부 자료는 한국부동산원 부동산통계시스템(www.r-one.co.kr, 부동산정보 앱) 또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누리집(rt.moli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