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장마철 야간 빗길운전 특히 조심!


최근 5년간(2017~2021년) 빗길 교통사고 월별 발생 비율


도로교통공단(이사장 이주민)이 빗길 교통사고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2017~2021년) 총 69,062건이 발생하여 연평균 13,800건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빗길 교통사고는 여름철(6~8월)에 37.9%(26,194건)가 집중됐고, 그 중 7월에 14.7%(10,156건)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찬 비가 내리기 쉬운 장마철에는 교통안전에 더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맑은 날에는 주간(61.4%)에 교통사고가 더 많이 발생한 반면, 빗길 교통사고는 야간(52.7%)에 더 많이 발생했고,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대는 18~20시(14.6%)로 나타났다.

* (주간) 06시~18시, (야간) 18시~06시

빗길 교통사고의 치사율은 2.1(명/100건)로 맑은날 1.5(명/100건) 보다 약 1.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새벽시간대인 오전 4~6시에 발생한 빗길 교통사고 치사율은 6.4(명/100건)로 가장 높았다.

* 치사율(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수) = 사망자수×100/사고건수

빗길 야간사고는 주간과 비교해 차대사람사고 비중이 높았고, 신호위반사고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빗길 차대사람사고 비중 : 야간 24.2% > 주간 16.0%
* 빗길 신호위반사고 비중 : 야간 14.3% > 주간 11.9%

빗길사고 중 고속국도(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사고는 2.6%에 불과하지만, 치사율은 8.7(명/100건)로 빗길사고 평균 치사율 2.1(명/100건)보다 약 4배 높아 감속운전 및 안전거리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치사율(명/100건) : 빗길 고속국도 8.7 > 빗길 평균 2.1, 맑은날 고속국도 4.5

도로교통공단 고영우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젖은 도로를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물막이 형성되어 자동차가 미끄러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20~50%이상 감속 운전해야 한다”며, “특히 야간에는 내리는 비와 어두운 시야로 인해 사고 위험성이 커지는 만큼 운전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고, 보행자는 운전자의 눈에 띄기 쉽도록 밝은 색의 옷을 입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