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은 4일(화)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2023년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를 주재하고, 참여위원들과 함께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 강화방안을 논의하였다.
다문화가족 참여회의는 다문화가족의 정책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2015년 발족하였으며, 다문화가족이 직접 다문화가족 정책 및 사업에 관한 의견을 제안하는 회의체다.
※ 제6기 참여위원 구성(총 21명): 시·도별 추천(16명) 및 여성가족부 추천(5명)으로 구성 / 결혼이민자(16명)와 한국인 배우자(3명), 다문화가족 자녀(2명) 포함
이번 회의에서는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 강화’를 주제로 의견을 나누었다.
최근 취학연령대 다문화가족 자녀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학습과 진로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이 우리 사회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 `21년 기준 다문화가족 자녀 29만 명 중 만7~18세 자녀는 17.5만 명(60.4%)
* 2021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 다문화가족 자녀의 지원수요는 학습지원(3.42점), 진로상담(3.31점) 순(5점 척도)
이에 여성가족부는 지난 4월, 다문화 아동·청소년의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 강화에 중점을 둔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23~2027)을 발표하였다.
또한 제4차 기본계획의 이행을 위해 현장전문가, 정책당사자 등 다방면의 의견을 수렴하여 기존 사업 개편 및 신규 프로그램 발굴을 추진해나갈 예정이다.
참여위원들은 중·고등학생 이중언어 교육 강화, 다문화 청소년과 지역 대학생 간 학업‧진로 길잡이(멘토링) 등 다양한 정책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한국생활 16년차 결혼이민자인 장미 위원은 자칫 위축될 수 있는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이중언어라는 장점을 개발하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중·고등학생 자녀에게 온·오프라인 이중언어 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고,
중국 출신 배우자를 둔 박선옥 위원은 청소년기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어려운 고민이 있을 때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줄 수 있는 든든한 선배 한명씩을 가질 수 있도록 지역 대학생과의 1:1 길잡이(멘토링)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기순 여성가족부 차관은 “올해는 제4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을 이행해나가는 첫 해로, 정책과 사업을 개선하는 첫 단추를 잘 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참여위원 여러분들의 생생한 경험과 조언을 경청하여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 개선을 이루어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