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더울 때는 운동도 삼가세요! 폭염중 운동 주의보



서울시는 올해 온열질환자 발생이 급증하고 있어 시민들에게 폭염시 야외 활동 자제와 함께 건강수칙 준수를 당부하고,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를 강화하는 등 온열질환 예방 및 관리에 힘쓰고 있다.

온열질환은 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두통, 어지럼,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동반하고, 방치 시에는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질병으로 열사병과 열탈진이 대표적이다.

응급실을 보유한 서울 소재 모든 병원(70개소)이 참여하는「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운영 결과, 2025년 5월15일부터 7월7일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총 85명으로 전년(5.20~7.7, 27명) 대비 58명이 증가하였다.

※ 금년에는 이른 더위로 인해 전년보다 5일 앞당겨 감시체계 운영을 시작했다.

서울시 온열질환자 발생 양상은 발생 장소, 시간대, 연령대 등에서 전국과 차이가 있다. 서울에서 온열질환은 작업장보다 길가, 운동장, 공원 등 야외 여가활동 공간에서, 오후보다는 오전(10시~12시)에, 노년층보다는 30~40대 청장년층에서 더 많이 발생했다.

구분

발생수

발생장소

시간대

연령대

길가

운동장

공원

실외

작업장

논밭

그 외

오전

(06~10)

오전

(10~12)

오후

(12~17)

그 외

30~

49

65세 이상

그 외

서울

85

45

14

11

1

14

14

37

21

13

39

14

32

100%

53%

17%

13%

1%

16%

16%

44%

25%

15%

46%

16%

38%

전국

977

131

73

253

196

324

93

166

486

232

252

327

398

100%

13%

8%

26%

20%

33%

9%

17%

50%

24%

26%

33%

41%


특히, 길가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 45명 중 25명은 오전 시간대에 시작한 마라톤 중 발생한 것으로 신고되었다. 비교적 선선한 오전 시간대라도 충분한 수분 섭취나 컨디션 조절이 미흡하면 건강한 젊은 사람도 온열질환에 걸릴 수 있다. 

마라톤 중 발생한 온열질환자 25명의 연령대는 20대 4명, 30대 9명, 40대 8명, 50대 4명이다.

이동률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어르신, 어린이, 심뇌혈관·고혈압·당뇨병 환자, 노숙자 등 온열질환 취약계층뿐만 아니라, 운동·여가를 위한 신체활동 시에도 무더위를 과소평가하여 건강수칙을 소홀히 할 경우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며 “시민들에게 폭염 기간에는 야외에서 작업 및 신체활동을 자제하고, 건강수칙을 반드시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 폭염 대비 건강수칙 >

① 시원하게 지내기
  - 샤워 자주 하기
  -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 입기
  - 외출 시 햇볕 차단하기 (양산, 모자 등)

② 물 자주 마시기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 자주 마시기
    * 신장질환자는 의사와 상담 후 섭취

③ 더운 시간대는 활동 자제하기
  - 더운 시간대에는 야외작업, 운동 등을 자제하고, 시원한 곳에 머물기
    * 자신의 건강 상태를 살피며 활동 강도 조절하기

④ 매일 기온 확인하기
  - 기온, 폭염 특보 등 기상 상황을 수시로 확인하기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