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전쟁의 아픔과 상처를 간직한 '6‧25전쟁 격전 상흔지' 총 50개소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이중 표석이나 안내표지판이 없는 31개소는 '22년까지 안내표지판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기설치 : 19개소, 해당기관 및 단체)
시민들의 기억에서 희미해지고 도시개발 등으로 사라져가는 서울시내의 '6‧25전쟁 격전 상흔지'를 발굴하고 장소의 의미를 소개해 역사의 아픔을 기억하는 안보교육의 장으로 활용한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작년부터 수도방위사령부와 협력해 발굴 작업을 시작했다. 군 자료를 통해 1차 조사 후 서울시가 1년여에 걸쳐 직접 현장을 확인하고, 안내표지판 설치를 위해 해당 시설이나 부지 소유주의 동의를 구했다. 이 과정에서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의 자문을 거쳤다.
시는 우선 1차로 오늘(8.31.) 3개소에 안내표지판 설치를 완료한다. ▴한강방어선 노량진 전투지(사육신묘공원) ▴한강방어선 흑석동 전투지(효사정공원) ▴함준호 대령 전사지(강북구 우이동 연경빌라)다.
한강방어선 노량진 전투지(사육신묘공원) : 1950.7.1. 국군 제7사단이 한강 인도교와 철교를 잇는 노량진 일대에서 벌인 전투로, 서울을 점령한 북한군의 한강 도하를 지연시켰던 전투다.
한강방어선 흑석동 전투지(효사정공원) : 1950.7.2. 국군 제9연대가 한강인도교 동측 이촌동에서 효사정공원 주변으로 도강한 북한군에 맞서 싸운 전투다. 6‧25전쟁 초기 한강방어선의 주요 전투지로 역사적 의미가 있다.
함준호 대령 전사지(강북구 우이동 연경빌라) : 1950.6.27. 국군 제7사단 1연대장인 함준호 대령이 파죽지세로 진격해오는 북한군에 대항하다 기습공격을 받아 전사한 곳이다. 국군 연대장으로서 첫 번째 전사자였다.
서울시는 '22년까지 나머지 안내표지판 설치를 완료한다. 올해 11월에 애국인사 구금지(구 성남호텔, 현 예금보험공사) 등 5개소, '21년에는 서울역시가전지 등 18개소, '22년에는 동작동 국군 전사자 유해발굴지 등 5개소(*재건축 진행 등)에 설치한다.
서울시는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와 서울관광재단의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이번에 발굴한 50개소를 안보관광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또, '24년 9월 완공을 목표로 건립 준비 중인 ‘(가칭)서울수복기념관’(동작주차근린공원 소재)을 거점으로 한 상설 탐방 프로그램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갈준선 서울시 비상기획관은 “기억에서 희미해져가고 도시개발 등 으로 사라져가는 서울시내 6.25전쟁 격전 상흔지를 지금이라도 발굴‧보전하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역사의 아픔을 공유하는 안보교육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